침상 배변 배뇨도움 - 목적

 

● 화장실까지 가지 못하거나 침대에서 내려올 수 없는 경우 침대에서 배설할 수 있도록 돕는다

 

● 배설 활동이 원활하면 생리적 기능을 회복, 유지시켜 주며 심리적으로 만족감을 느낀다.

 

● 배설 기능을 가능한 스스로 유지 조절할 수 있게 도움으로써 삶의 질 향상과 건강 유지 및 관리를 돕는다.

 

 

 

침상배변 배뇨도움 - 주의사항

 

● 요의나 변의를 호소할 때 즉시 배설할 수 있도록 돕는다.

 

● 불필요한 노출을 방지하고 편안한 상태에서 배설할 수 있도록 한다.

 

● 스스로 배설할 수 있도록 배변 및 배뇨 훈련에 적극 참여하도록 격려한다.

 

● 배설이 어려울 때는 미온수를 항문이나 요도에 끼얹어 자극을 주면 요의나 변의를 느낄 수 있다.

 

● 이동식 좌변기는 매번 깨끗이 씻어 배설물이 남아있거나 냄새가 나지 않도록 한다.

 

침상 배변 배뇨도움 - 준비

 

● 준비물품을 확인, 정돈한다.

 

- 일회용 장갑, 커튼이나 스크린, 휴대용 변기, 방수포, 무릎덮개, 수건, 화장지, 물티슈, 손 씻을 물(혹은 물수건), 휴지통, 방향제

 

● 사전에 제공 목적과 효과를 알려 협조와 동의를 구한다.

 

침상 배변 배뇨도움 - 방법

 

● 화장실까지 갈 수 없는 수급자가 요의나 변의를 표현할 때, 즉시 배설할 수 있도록 돕는다.

 

● 방문과 창문을 닫는다.

 

<배뇨도움>

 

● 일회용 갑, 휴대용 변기, 방수포, 큰 수건, 화장지, 물수건, 휴지통 등 배뇨, 배변 용품을 준비한다.

 

● 수급자가 발에 힘을 주면 허리를 살짝 들어 올리거나 몸을 좌우로 돌려 엉덩이 아래에 방수포를 깔아준다.

 

● 허리 아래쪽을 큰 수건으로 덮은 뒤, 바지를 내려준다.

 

● 소변기 입구를 몸에 밀착하도록 대준다.

 

● 소변기를 뗄 때는 안에 든 소변이 흐르지 않도록 떠올리듯이 제거한다.

 

● 먼저 화장지로 음부를 닦고 물수건으로 한번 더 닦아준다

 

 

<배변 도움>

 

● 건강한 쪽으로 돌려 눕힌 뒤, 허리 아래에 수건을 받친다.

 

● 엉덩이 부위에 변기를 놓고 그 위로 눕힌다.

 

● 배에 힘을 줄 수 있도록 상체를 세운다.

 

● 소변이 튀지 않도록 회음부에 화장지를 대준다.

 

● 용무를 마치면 불러달라고 이야기한 뒤, 밖으로 나가서 기다린다.

 

● 배변이 끝나면 다시 눕힌다.

 

● 화장지로 회음부와 항문 부위를 닦아준다.

 

● 변기를 뺀 뒤 건강한 쪽으로 돌려 눕힌다.

 

● 회음부와 엉덩이를 따듯한 물수건으로 한번 더 닦아준다.

 

● 방수포를 걷어낸 뒤, 장갑을 벗는다.

 

● 속옷과 바지를 입히고 물품을 정리한다

 

 

침상 배변 배뇨도움 - 확인

 

● 도움 과정에서 인지나 신체기능의 이상을 관찰하고, 필요시 관리자에게 연락한다.

 

● 만족했는지 불편한 점은 없었는지 묻는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