기저귀 교환 - 목적
● 배설물에 의한 시트나 의복의 오염을 방지하고 배뇨, 배변장애 없이 활동할 수 있도록 한다.
● 배설활동이 원활하면 생리적 기능을 회복, 유지시켜 주며 심리적으로 만족감을 느낀다.
● 배설 기능을 가능한 스스로 유지, 조절할 수 있게 도움으로써, 삶의 질 향상과 건강 유지 및 관리를 돕는다.
기저귀교환 - 주의사항
● 기저귀를 사용하면 피부 장애나 욕창이 생기기 쉬우며 의식이 있는 경우 수치심을 느끼기도 한다.
● 일상적인 배뇨 배변 시간에 맞춰 자주 살펴보고 자주 갈아주어 습기가 차지 않도록 한다.
● 장기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피부의 발적, 상처 등을 살펴보고 예방을 위한 관리가 필요하다.
기저귀교환 - 준비
● 준비물품을 확인, 정돈한다.
- 기저귀, 일회용 장갑, 스크린이나 커트, 물티슈, 면 덮개, 마른 수건, 화장지, 따뜻한 물(혹은 물수건), 방향제, 휴지통
● 사전에 제공 목적과 효과를 알려 협조와 동의를 구한다.
기저귀교환 - 방법
● 필요시 스크린, 커튼 등을 친다.
● 일회용장갑, 수건, 물수건, 기저귀, 방수포, 화장지, 비닐봉지, 휴지통 등 배변 용품을 준비한다.
● 몸을 좌우로 돌려 엉덩이 아래에 방수포를 깔아준다.
● 허리 아래쪽을 큰 수건으로 덮은 뒤, 윗도리는 가슴 아래까지 올리고, 바지는 발목까지 내려준다.
● 기저귀의 테이프를 떼고 무릎을 세워준다.
● 기저귀를 접어 배설물을 안으로 말아 넣는다.
● 건강한 쪽으로 돌려 눕힌다.
● 기저귀를 빼낸 뒤 비닐봉지에 넣어서 버린다.
● 회음부, 엉덩이, 항문 등을 따뜻한 물수건으로 닦고, 마른 수건으로 물기를 완전히 제거한다.
● 엉덩이 아래 새 기저귀를 대고 바르게 눕힌 다음, 고정시킨다.
● 바지를 입히고 윗옷은 내려준다.
● 수건을 걷어내고 건강한 쪽으로 돌려 눕힌 뒤, 옷과 침구를 정돈한다.
기저귀교환 - 확인
● 대소변의 색깔 및 냄새, 양상이 특이하거나 이전과 많이 다른 경우, 피부 발적 등 욕창 증상이 있는 경우, 관리자에게 알린다.
● 만족했는지 불편한 점은 없었는지 묻는다.
유치도뇨관 사용 도움 - 목적
● 유치도뇨관을 통하여 소변이 잘 배출되어 요로감염이 생기지 않게 한다.
● 배설활동이 원활하면 생리적 기능을 회복, 유지시켜 주며, 심리적으로 만족감을 느낀다.
● 배설 기능을 가능한 스스로 유지, 조절할 수 있게 도움으로써, 삶의 질 향상과 건강 유지 및 관리를 돕는다.
유치도뇨관 사용 도움 - 주의사항 및 방법
● 유치도뇨관을 통한 감염이 생기기 쉬우므로 감염 예방을 위한 관리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.
- 적정 간격으로 유치도뇨관 및 소변주머니를 교체한다.
- 소변이 방광으로 역류되어 감염이 생기기 쉬우므로 소변주머니는 절대로 방광(아랫배) 보다 높은 위치에 두지 않는다.
- 소변 냄새와 양, 불편감 등을 잘 관찰하고, 이상이 있을 경우 신속하게 처치한다.
● 유치도뇨관을 통해 소변이 제대로 나오는지, 소변량, 색깔을 방문 때마다 확인한다.
● 연결관이 꺾여있거나 고정부위로 인해 방광 내 소변이 정체되면 압박감을 느끼게 되고 방광 내 풍선이 커져서 자극을 주는 경우도 있으므로, 수급자가 호소하는 불편감을 간호사에게 잘 알린다.
●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수분섭취를 권장한다. 지시가 있을 경우 수분섭취량과 배설량을 체크하고 기록한다.
● 소변주머니는 체크 후 바로 비워서 냄새가 나지 않도록 한다. 항상 주변을 청결하게 한다.
● 침대에서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고 보행도 가능함을 알려준다.
● 유치도뇨관을 강제로 제거하면 요도점막에 손상을 입히므로 지나치게 잡아당기지 않도록 한다.
유치도뇨관 사용 도움 - 확인
● 준비물품을 확인, 정돈한다.
- 일회용 장갑, 커튼이나 스크린, 휴대용 변기, 방수포, 무릎덮개, 수건, 화장지, 물티슈, 손 씻을 물(혹은 물수건), 휴지통, 방향제
● 사전에 제공 목적과 효과를 알려 협조와 동의를 구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