복약도움 - 목적

 

● 신체 및 인지기능의 유지와 개선을 위하여 필요한 약 복용을 적절하게 돕는다.

 

 

 

복약도움 - 주의사항

 

● 경구약(먹는 약)의 경우 물을 이용하여 복용한다.

 

● 물약은 병을 옮겨 담아서는 안 된다.

 

● 정확한 시간에 복용하도록 한다.

 

● 경구약의 경우 가능하면 앉은 자세로 복용한다.

 

● 약 복용 후 입 안에 약이 남아 있는지 확인한다.

 

복약도움 - 준비

 

● 준비물품을 확인, 정돈한다

 

- 처방된 수급자의 약, 숟가락, 주사기, 물, 컵, 계량컵, 눈금 있는 약물 통

 

복약도움 - 방법

 

<경구약 복약 돕기>

 

● 약포 장지의 표면에 있는 이름을 확인한다.

 

● 손을 씻는다.

 

● 침상 머리를 높이고 반좌위를 취해준다.

 

● 복용 방법을 설명한다.

 

● 약물을 입에 넣기

 

-가루약은 약간의 물에 녹인 후 중간 크기의 숟가락을 사용하여 복용하거나, 바늘을 제거한 주사기를 이용하여 녹인 가루약을 입 안으로 조금씩 주입한다.

 

- 알약의 경우 약의 개수가 많으면 2~3번에 나누어 투약하고, 직접 입안에 넣어준다(수급자의 경우 손이 떨리거나 입안에 넣는 동작 중에 약을 분실할 우려가 있다)

 

- 물약의 경우 뚜껑을 열어 뚜껑의 위가 밑으로 가도록 넣고 계량컵을 눈높이로 놓은 다음, 처방된 약만큼 따른 후 복용하도록 한다.

 

 

- 입을 벌리게 하거나 질문을 하게 하여 다 복용하였는지 확인한다.

 

- 약을 복용하면서 기침을 심하게 한다거나 오심, 구토를 보인 경우 의료진에게 알린다.

 

<비경 구약 이용하기 : 안약 점적>

 

● 점적 전에 요양보호사는 손을 깨끗이 씻고 수급자의 눈 주위 분비물을 닦아 낸다.

 

● 안약의 이름, 농도, 점적수를 확인한다.

 

- 물약 : 점적 기를 사용하는 경우는 정확한 점적수대로 점적하도록 한다.

 

- 연고 : 첫 번째 나오는 것을 살짝 짜서 버리고 사용한다.

 

● 수급자에게 천장을 바라보도록 하고 휴지를 준다.

 

● 안약을 점적하도록 한 후 눈을 감고 눈을 움직이도록 한다.

 

● 약물이 넘치는 경우 눈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닦아낸다.

 

● 필요한 경우 안대나 거즈를 종이테이프로 고정한다.

 

<약 보관하기>

 

● 모든 약물은 직사광선이 없는 건조한 곳에 보관한다.

 

● 약을 보관할 때는 설명서에 약 보관방법을 잘 읽고 정확히 따라야 한다. 부득이 설명서와 분리하여 약을 보관할 경우, 약물의 명칭과 사용 용량, 유통일자 등을 적은 종이와 함께 작은 밀폐용 비닐에 넣어 보관한다.

 

● 반드시 약의 유효기관을 확인하고, 장기간 복용하지 않았던 약은 복용 전 색깔과 냄새 변질 여부를 확인한다. 유효기간을 확인할 수 없다면 지난 것으로 간주하고 폐기한다.

 

● 시럽약 용기가 입에 닿은 후 약을 보관하면 침이 약에 섞여 변질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깨끗한 플라스틱 계량컵이나 스푼에 덜어 먹인다. 일단 병에서 꺼낸 시럽을 다시 넣는 것은 약 변질의 원인이 되므로 버린다.

 

 

● 안약이나 귀약은 사용 용도에 맞게 용기가 제작되어 있으므로 투약 후 약 나오는 부분을 알코올로 잘 닦아 상온, 그늘진 곳에서 보관한다.

 

복약도움 - 확인

 

● 복약도움 과정에서 인지나 신체기능의 이상을 관찰한다.

 

● 복약 후 불편한 점은 없었는지 묻는다.